건국대학교 에너지거래플랫폼 융합인력양성센터 - 홈페이지

에너지인력양성사업
사업소개

에너지거래 플랫폼

  • 재생에너지 비중 증가 → 불확실성과 변동성 확대 대응 필요
  • 에너지 시장의 수직/폐쇄적 구조에서, 수평/개방적 구조로의 변화
  • 국내외에서 신 에너지거래 플랫폼, 비즈니스 모델 등장

주요 기술

  • 가상발전(VPP), P2P 전력거래 모델
  • 균등화 발전비용(LCOE) 산정 모델
  • 머신러닝 기반 수요 및 출력 예측 기법
  • 전력/배출권/REC 시장 리스크 관리 전략
  • 분산장부 기반 에너지거래 네트워크 설계
  • 영지식증명 기반 네트워크 보안 기술
  • 하이브리드 ESS 인버터 기술

에너지거래 플랫폼은 국가 에너지전환 정책 이행을 위한 핵심 수단

에너지거래 플랫폼 융합 인재의 정의

  • 에너지거래 플랫폼 융합 인재의 요건
    • 에너지 상품의 거래와 관련된 물리적, 경제적, 제도적,사회적 제약들에 대한 지식 보유
    • 에너지 거래 각 부문에서 요구되는 분석, 설계, 의사결정 능력 보유
    • 공학, 경제학, 법학, 회계 등 다학제적 역량 보유
융합 인재의 정의

에너지산업 체계를 구성하는 층들 가운데 최소 한 개 이상의 층에 대한 전문지식을 기초로, 다른 층과의 상호운용에 필요한 역량을 갖추고, 시장 및 기업 영역(에너지거래 플랫폼)에서 활동할 수 있는 인재

에너지거래 플랫폼은 다학제적 역량을 갖춘 융합 인재 요구

본 사업의 필요성

  • 국내외 신 에너지거래 플랫폼 수요 확대 (VPP, P2P)
  • 에너지시장 A, I, C, B, M 기술 융합 확대
  • 에너지시장 자유화, 통합화, 융합화 급속히 확대
  • 대학원 이상 고학력 연구개발 전문인력 부족
  • 기업 애로기술의 학술적인 해결을 위한 인적 교류 부족
  • 전기공학, 정보통신공학 및 경제학 분야 융합 인재 부족
  • 기업 Needs를 정확히 알기 어려움
  • 수요 기술관련 집중적인 교육과정 이수 어려움
  • 에너지거래 플랫폼 설계 및 운영 관련 경험 축적 어려움
  • 융합인재 육성 위한 체계적인 기술 융합 교육 프로그램 필요
  • 단독연구로 인한 연구비 및 연구장비 부족
  • 전기공학, 정보통신공학 및 경제학 분야 공동 연구 기회 부족

체계적인 교육과정기업 맞춤형 전문인력 양성과정 필요

사업 결과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

에너지거래 플랫폼 설계 및 운영 기술 전문 인력 배출

  • 5년(3+2)간 수혜인원 111명, 석박사 배출인원 71명 → 관련 산업체 인력수요 기여
  • 산업체 프로젝트 기반 Flipped learning 프로그램 구축  산업체 밀착형/실무 강조형 대학원 교육
  • 학부 인력양성 수행으로 학사급 인력의 관련분야 전문기술/연구직 진출 기회 제공
  • 에너지시장 관련 분야의 핵심 기술을 이해하고 융합할 수 있는 차별화된 전문인력 양성

에너지거래 플랫폼 설계 및 운영 기술 전문 교육 프로그램 개발

  • 신 에너지거래 플랫폼 관련 강좌 신규 개설 및 기존 강좌 내용의 대폭 보완
  • SCI급 논문 55편 게재, 10권의 입문/심화 교재 개발을 통한 연구 및 실무 교육 활성화 기대
  • 학부생, 대학원생 뿐만 아니라 산업체 인력의 재교육 및 연수프로그램 개발

국내외 산학연 네트워크 구축 및 폭넓은 인적 교류를 통한 산업 활성화

  • 수혜학생들에게 산업체 인턴 실습 기회, 학생-기업간 눈높이 맞춤 기회 제공 및 구직, 인력난 해소
  • 정기적인 Job Fair를 개최/참석하여 학생들의 진로 선택 확대 및 산업체 채용 기회 제공
  • 산학연 교류를 통한 본 사업에서 파생 가능한 핵심기술의 도출 및 공동 연구/산업 활성화 기여
  • 국내외 선도기관 교류, 여성 공학인재 육성, 지식나눔 사회봉사등을 통한 폭넓은 인적 교류 추진